GitLab 설치 후 로컬에 저장된 프로젝트 폴더를 GitLab과 연동하는 방법
*자세한 설명 생략
< 설정 따라가기 >
▷ GitLab 그룹 생성




▷ GitLab 프로젝트 생성




▷ 로컬 프로젝트 연동
*Git 미설치 시 아래 참고
[ 이름, 이메일 설정 ]
*현재 프로젝트에서만 적용
💡 git config user.name "사용할 이름"
💡 git config user.email "사용할 이메일"
[ git 설치 확인 ]
💡 git --version
[ git 초기화 ]
💡 git init
[ 커밋 대상 추가(모든파일) ]
💡 git add .

[ 커밋 ]
💡 git commit -m "Initial commit"


[ remote 설정 ]
💡 git remote add origin http://localhost:9000/solution-team/cms-was.git
*git remote remove origin
[ 로컬 브랜치 이름 변경 ]
💡 git branch -M main
[ GitLab main 브런치로 Push ]
💡 git push -uf origin main


▷ 참고
Git
git-scm.com
[Git] Git Download 깃 설치하기 :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
안녕하세요 :) 오늘은 깃(Git)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Git 파일 다운로드 https://git-scm.com/downloads Git -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/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
sfida.tistory.com
▷ 관련 글
GitLab 설치 방법
Docker를 이용해 GitLab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.*혼자서 사용하기 위해 설치*자세한 설명 생략 ▷ GitLab 설치 방법 ① 폴더 생성*GitLab에서 사용할 설정, 로그,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로컬 폴더
coding-today.tistory.com
'▶ Back-End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GitLab 설치 방법 (0) | 2025.11.25 |
|---|---|
| GPU 작업 관리 예제 - 배포 및 결과 확인 (0) | 2025.01.21 |
| SNS 간편로그인 - 네이버 API 사용 등록 방법 (0) | 2024.07.16 |
| SNS 간편로그인 - 구글 API 사용 등록 방법 (0) | 2024.07.15 |
| SNS 간편로그인 - 카카오 API 사용 등록 방법 (0) | 2024.07.10 |
댓글